kt m 모바일 유심 셀프 개통 후기

KT m 모바일 유심 셀프 개통 후기 한 번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알뜰폰 중 하나인 KT M 모바일도 셀프 개통 시스템이 잘 되어있습니다. 스마트폰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이라도 개통하는 데에 크게 어렵지 않게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셀프 개통은 무엇보다 미리 알고 전체적으로 한 번 쭉 이해를 하고 한 단계씩 해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럼 관련 정보를 하나씩 알아보도록 할게요.

kt-m-모바일-유심

개통 전 주의사항

주의 사항을 먼저 읽고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주의 사항을 읽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본인의 책임이 따르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우선 주의 사항을 체크해보시길 바랍니다.

  • 개통 전 본인 인증 수단이 필요
  • 개통은 와이파이 환경에서 진행
  • 개통 하고 난 다음 핸드폰에 삽입
  • 미성년자 불가
  • 1인당 1개 회선만 셀프 개통 가능

개통 전 본인인증 수단이 필요합니다. 그러니 문자 수신이 가능한 핸드폰 혹은 네이버, 토스 등 인증서가 갖춰진 상태에서 진행할 수 있습니다. 휴대전화가 되지 않고 인증서가 없는 경우에는 전화해서 개통을 진행해야합니다.

개통하다보면 데이터가 끊기기 때문에 와이파이 환경에서 진행해야 원활한 개통이 가능합니다. 만일 PC를 통해 하는 경우라면 굳이 이 부분은 상관이 없을 듯 합니다.

미리 유심 삽입하고 개통을 진행하지 마시고, 개통을 모두 완료한 후에 유심을 꽂아주세요.

또한 무지성 가입을 막기 위해서 1인당 1개만 셀프 개통이 가능하고 추가 회선 가입은 상담사와 전화를 통해서 연결해야 합니다.

셀프 개통 가능 시간

KT-엠모바일-신청-시간

셀프 개통이 가능한 시간대가 있습니다.

번호이동10:00-19:50
신규가입08:00-21:50

번호 이동의 경우에는 일요일, 신정, 설, 추석 당일은 불가하다고 합니다.

참고로 번호이동과 신규가입에 대한 개념이 없는 분들이 있을 수 있는데요.

  • 번호이동-원래 쓰던 전화번호 그대로 통신사만 변경
  • 신규가입-아예 새 번호를 새 통신사로 만들기

이렇게 정리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KT M 모바일 유심 판매처

유심은 주변에서 판매하는 곳들이 많이 있는데요. 유심은 NFC 유심과 일반 유심 두가지가 있습니다. 구매하는 곳에 따라 요금 차이가 나기 때문에 이 부분도 미리 확인하면 좋습니다.

NFC 유심일반 유심
CU 편의점8,800원4,400원
GS 258,800원4,400원
이마트 248,800원4,400원
세븐일레븐8,800원4,400원
스토리웨이4,400원3,300원
홈플러스4,400원
롯데 하이마트4,400원
이마트(이마트 에브리데이)4,400원

일반 편의점에서 구입하는 게 가장 비쌉니다. 물론 네이버나 쿠팡 같은 온라인을 통해서도 구입할 수 있습니다.

셀프 개통 순서 및 후기

KT M 모바일 유심까지 준비가 되었다면 이제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개통을 해보겠습니다. 필요한 사항은 신분증, ARS 전화 가능한 핸드폰 두 가지가 필요합니다.

신분증은 직접 촬영하는 게 아닌 면허번호, 민증 발급일자를 입력하는 것이기에 실물 카드가 필요하지는 않았습니다.

KT-M-모바일-메인-홈페이지-화면

상단 메뉴에 유심/eSIM 버튼으로 들어가 셀프개통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셀프개통-바로가기

화면을 스크롤해 아래로 내리면 셀프개통 바로가기 버튼이 있어요. 이걸 클릭합니다.

약관-동의

약관에 동의를 하고요. 다음을 클릭합니다.

개통-유형-선택

셀프 개통을 선택하고요.

가입-유형

가입 유형을 선택합니다. 앞서 언급한대로 기존 핸드폰 번호 그대로 통신사만 이동하는 경우 번호이동. 새로운 번호를 만드는 거면 신규가입을 선택합니다. 서비스 유형은 LTE, 5G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요금제-선택

그리고 요금제를 선택합니다. 요금제는 하나하나 보고 본인에게 적합한 상품을 선택합니다.

비회원-가입

로그인 화면이 나오는데, 회원이 아닌 경우에는 비회원으로도 충분히 개통이 가능합니다. 비회원 가입으로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유심-정보-입력-유심번호-유효성-체크

구매했던 유심 정보를 입력합니다. 맨 뒤에있는 알파벳은 제외하고 숫자만 19자리를 입력합니다. 그리고 유심번호 유효성을 체크.

유심번호-사용-가능-확인

사용 가능하다고 나오네요. 확인을 눌러 계속 진행했습니다.

신분증-확인

이제 신분증 확인을 했는데요. 확인 가능한 신분증의 종류는 5가지 입니다.

  • 주민등록증
  • 운전면허증
  • 장애인 등록증
  • 국가 유공자증
  • 외국인 등록증

저는 면허증으로 진행을 했어요.

신분증-확인-본인-조회

발급 일자와 면허 번호를 입력한 후 본인 조회 동의를 클릭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앞서 언급한대로 실물을 촬영하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현재-사용중인-통신사

현재 사용 중인 통신사를 통한 인증이 필요했는데요. 본인이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통신사를 선택하고 전화를 걸면 됩니다. 알뜰폰의 경우에는 종류가 너무 많아서 파악이 어려운데요. 그래도 어찌저찌 찾아서 선택했네요. 모르는 경우에는 114로 확인할 수 있다고 합니다.

동의-완료-ARS-전화-동의

위 번호를 받았고 전화를 걸고 ARS 안내를 따라서 진행하면 됩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전화기가 완전히 망가져서 전화를 걸 수 없는 상태였는데요. 그래서 친구 핸드폰으로 걸어서 진행했는데도 가능했습니다. 대략적인 통화 내용으로는 이제 통신사를 옮길거다. 이 부분에 대한 동의를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친구초대-추천인

부가서비스 정보를 입력하는 페이지로 넘어가게 됩니다. 친구초대 추천인 ID가 있다면 작성합니다. 친구초대 추천인 ID를 입력하는 것만으로도 본인에게도 혜택이 있기 때문에 공란으로 두는 것 보다는 Z6376 입력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부가-서비스-신청

부가서비스 부분도 마저 체크해줍니다. 굳이 필요한 부가 서비스가 없다면 그냥 넘어가도 좋습니다. 부가 서비스의 경우에는 향후 KT M 모바일에 접속해서 얼마든지 가입 및 변경을 할 수 있습니다.

가입-사은품-선택

가입할 때 사은품도 주더라고요. 안 그래도 편의점에서 사서 유심을 좀 비싸게 사서 약간 불편했는데 이거면 충분히 상쇄가 될 듯 했습니다. 네이버 포인트 3만원 선택.

셀프-개통-완료

이렇게 개통이 완료 되었습니다. 이제 유심을 핸드폰에 꽂고 전원을 켰는데… 처음 시도에는 인식이 안되더라고요. 그래서 한 번 껐다가 켜니 바로 인식이 됐습니다. 잘 안될 때는 역시 껐다 키는 것 만큼 좋은 게 없는 것 같습니다.

셀프 개통을 처음 해보더라도 그리 어렵지는 않을 것 같아요. 참고하시어 셀프 개통 해보시길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