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무료 제공 용량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파일이나 사진을 업로드하고 어디서든 다운 받을 수 있는 클라우드 형태의 플랫폼은 정말 유용한 플랫폼이죠. 무엇보다도 스마트폰과 PC를 번갈아 가며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분들에게는 필수적인 사항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정 부분은 무료로 제공되는 용량이 있는 플랫폼들이 많기 때문에 많은 분들 역시 무료 제공 용량은 어느 정도 사용하고 있을 것 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그럼 우리가 접근하기 쉬운 플랫폼별 무료 제공 용량을 각각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클라우드 플랫폼별 무료 제공 용량
플랫폼 별로 무료로 제공되는 용량을 한 번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네이버 마이박스 | 30GB |
구글 드라이브 | 15GB |
원 드라이브 | 5GB |
아이 클라우드 | 5GB |
드롭박스 | 2GB |
테라박스 | 1TB |
각각의 플랫폼 별로 무료 제공되는 용량은 다릅니다. 보통 적다 싶으면 5기가 입니다. 구글 드라이브도 적당히 제공하고 네이버 마이박스는 무료 제공이 30기가로 상당히 넉넉한 편입니다. 플랫폼 대부분 월 단위로 결제되는 용량별 유료 요금제도 있습니다.
그리고 가장 많은 무료 제공량은 테라박스입니다. 테라박스는 수익 모델이 요금제보다는 광고를 통해 돈을 내는 것 같습니다. 테라박스 무료 제공량이 압도적으로 많기에 사용을 고려하는 분들도 있을 것 같습니다. 실제 사용한 솔직 후기는 아래 테라박스 부분에 남겨보았습니다.
네이버 마이박스 요금제
네이버 마이박스는 Naver 에서 제공하는 플랫폼입니다. 그렇기에 네이버 아이디만 있으면 이용이 가능한데요. 보통 네이버 아이디는 하나씩 있기에, 기존 아이디가 있으면 가입을 하지 않아도 이용할 수 있어요.
무료로도 30GB의 용량을 제공합니다. 요금제는 4가지의 유료 요금제가 있습니다.
금액(1,650원~58,300원)에 따라 80GB~10TB 까지 용량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금액은 부가세 포함된 금액으로 위 금액이 결제로 나가는 금액 그대로입니다. 월 단위 요금제에요.

참고로 네이버 멤버십 이용하는 분들은 80GB의 요금제를 기본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고 해요.
구글 드라이브 요금제
구글 드라이브는 구글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입니다. 그렇기에 구글 계정이 있으면 기본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무료 제공 용량은 15GB에요. 구글 아이디만 있으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알고 있다시피 구글은 상대적으로 계정을 만들기가 쉽기도 하기에 계정을 여러 개 으면 계정에 숫자에 따라서 각각 15GB씩 사용할 수도 있어요.
구글 드라이브 요금제를 보면 100GB-2,400원 / 200GB-3,700원 두 가지가 있어요. 마찬가지로 월 단위 요금제입니다.


기본적으로 첫 달 무료 혜택이 있네요.
원 드라이브 요금제
원드라이브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입니다. 기본적으로 PC에 윈도우를 사용하는 분들이라면 마이크로 소프트 아이디는 있는 분들이 대부분일텐데요. 그렇기에 윈도우를 사용하는 분들이라면 접근성이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다른 클라우드에 비해서 약간은 무료 제공량이 적은데 5GB를 제공합니다.

요금제를 보면 3가지를 볼 수 있습니다.
요금제 이름 | 제공 용량 | 요금 |
Basic | 100GB | 2,900원 |
Personal | 1TB | 8,900원 |
Family | 6TB | 11,900원 |
다른 플랫폼과 달리 대용량이라고 할 수 있는 6TB가 요금제가 상대적으로 괜찮은 편입니다. 클라우드 용량이 TB급으로 필요한 분들은 원드라이브의 패밀리 요금제도 상당히 괜찮은 요금제입니다.
아이 클라우드 요금제
아이클라우드는 애플에서 제공하는 클라우스 서비스입니다. 아이폰 유저라면 기본적으로 애플 아이디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데요. 그렇기에 맥북, 아이폰 등의 애플 계열을 사용하는 분들은 필수적인 서비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5기가의 용량을 무료로 제공합니다. 그리고 아이 클라우드 한국 가격은 용량에 따라 나뉘는데요.
아이클라우드 요금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용량 | 요금 |
50GB | 1,100원 |
200GB | 4,400원 |
2TB | 14,000원 |
6TB | 44,000원 |
12TB | 88,000원 |
마찬가지로 월 결제입니다.
드롭박스 요금제
드롭박스는 클라우드 서비스로 유명한 업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인데요. 구글 혹은 애플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용량 | 요금 |
2TB | 9.99 달러 |
3TB | 16.58 달러 |
9TB | 1인 – 15 달러(3인 이상) |
15TB | 1인 – 24 달러(3인 이상) |
드롭박스 요금제는 TB부터 시작합니다. 요금제 역시 9TB, 15TB까지 초 대용량을 제공합니다. 클라우드를 통해서 팀 작업 등을 하는 분들이라면 드롭박스 요금제가 적합하다고 할 수 있어요.

요금제는 달러로 결제가 되기 때문에 결제 시기 환율에 따라서 원화 결제 금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테라박스 요금제 및 후기
테라박스는 이름답게 기본적으로 1TB를 제공합니다. 그렇다면 테라박스는 뭘로 먹고 살까? 하는 생각이 들 수 있는데요. 다른 플랫폼과는 달리 테라박스는 광고를 띄웁니다. 테라박스 역시 PC, 모바일 둘 다 지원을 하는데요.
개인적으로 테라박스도 한 번 사용했었지만, 모바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굉장히 많은 광고로 불편함을 느꼈습니다. 전체 광고, 동영상 광고 30초 등등 핸드폰으로 사용하기에는 굉장히 불편합니다. 반면에 PC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아직은 전체 광고는 안 나와서 그래도 충분히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모바일로 테라박스를 써야한다 하면, 사실 비추천하고 싶지만 PC로 쓸 생각이라면 상당히 괜찮은 것 같습니다.
요금제는 단순한 편입니다. 무료는 1테라 유료는 2테라. 이렇게 구성되어있습니다.
- 2테라-월 2,800원
테라박스는 원래 중국회사였지만, 최근엔 “바이두 재팬”이라는 일본 회사로 넘어갔다고 합니다. 보안 관련된 부분에 대해 많은 신경을 쓰는 분들이라면 이 부분은 참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