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다크 모드 설정 방법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윈도우는 하얀 창에 하얀색 작업 표시줄 등과 같은 밝은 느낌의 색상으로 구성이 되어있습니다. 하지만 오랜 작업을 하는 분들이나 스마트폰으로 다크모드를 사용하는 것에 익숙한 분들이라면 윈도우에서도 다크모드로 설정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다크 모드 설정은 한 번 설정해두면 계속해서 사용이 가능하기에 한 번만 설정해두면 계속해서 다크모드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럼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윈도우 다크 모드 설정 방법
다크 모드는 윈도우 기본 설정 아이콘을 통해 변경이 가능합니다.
- 개인설정
- 색
- 모드 선택
설정 방법을 하나씩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윈도우 기본 아이콘인 설정(톱니바퀴 모양)으로 들어갑니다. 설정 아이콘이 찾기 어려운 분들이라면 윈도우 시작-“설정” 검색 후 톱니바퀴 모양의 아이콘을 찾을 수 있습니다. 혹은 바탕화면 빈 공간 우클릭-개인 설정으로 바로 진입할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개인 설정으로 들어가 색 메뉴로 진입하면 다음과 같은 설정 사항들을 볼 수 있는데

가장 위에 있는 설정 항목인 모드 선택에서 기본적으로 “라이트”로 되어있는 것을 “다크”로 변경해주면 다크 모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창/시스템 다크모드 별도 지정
이렇게 라이트모드/다크모드를 설정 할 수 있지만, 좀 더 개별적인 설정이 가능하기도 합니다.
모드 선택에서 라이트/다크가 아닌 사용자 지정을 선택하면 두 가지 옵션이 추가적으로 설정 가능한데요. 각각에 다르게 모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기본 윈도우 모드와 기본 앱 모드에 대해 좀 더 이해하기 쉽게 설명을 해보면, 기본 윈도우 모드는 작업 표시줄과 같은 시스템 기본 구성의 색상 모드를 선택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기본 앱 모드는 앱을 띄웠을 때 나오는 색상 모드를 선택하는 것인데요.
쉽게 말해서 작업표시줄, 시작 메뉴 등은 기본 윈도우 모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기본 앱 모드는 탐색기, 엑셀 등 우리가 창을 띄워서 사용하는 화면을 설정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다크 모드를 사용자의 입맛에 맞게 적용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크 모드는 라이트 모드에 비해 장시간 PC로 작업을 하는 분들에게는 눈의 피로를 줄여주는 좋은 기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너무 어두운 곳인 경우에도 다크 모드를 통해서도 눈에 부담을 줄여 줄 수 있기도 합니다.
참고하시어 PC 노트북 사용하는 데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