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기본 브라우저 설정하는 방법 보도록 하겠습니다. 윈도우에 사용 가능한 다양한 브라우저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윈도우 기본 브라우저인 엣지를 포함해 구글의 크롬, 네이버 웨일 등등 수많은 브라우저가 있지만, 보통은 본인에게 익숙하고 편한 브라우저가 하나 있을 텐데요.
와이파이를 연결하기 위한 링크를 클릭하는 등 시스템 상에 인터넷 연결 링크를 선택하면 브라우저를 통해 열게 됩니다. 혹은 메일로 받은 링크, 카카오톡 링크 등등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기본적으로 실행되는 브라우저가 있습니다. 이를 본인이 원하는 프로그램으로 설정하는 방법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특히나, 엣지를 사용하지 않는 분들이라면 사용하면 설정해서 불편을 해소하시길 바랍니다.
윈도우 기본 브라우저 설정하는 방법
윈도우 기본 브라우저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설정
- 앱
- 기본 앱
- 원하는 앱 선택
- 기본값 선택
이와 같은 경로로 설정할 수 있는데요. 이미지로 하나씩 확인을 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윈도우 기본 아이콘 중 하나인 톱니바퀴 모양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그리고 좌측 메뉴에서 앱으로 들어갑니다. 그러면 세번째에 기본 앱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기본앱으로 들어가면 설치되어있는 앱, 프로그램들이 나오게 되는데요. 원하는 앱을 선택합니다. 스크롤로 내려서 찾기가 어려운 경우에는, 검색을 통해서도 찾을 수 있습니다.

원하는 앱으로 들어오면 ~~ 기본 브라우저로 만들기 등 기본값 설정 버튼을 볼 수 있습니다. 이걸 클릭합니다.
참고로 기본값 설정 아래 메뉴들을 보면 해당 링크나 파일 유형들은 이 기본값으로 설정된 프로그램을 통해 열게 끔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나면 체크 표시가 나오게 됩니다. 기본값으로 이제 설정이 끝이 났습니다. 향후 링크를 열게 되면 기본적으로 설정된 앱을 통해서 열게 됩니다.
기본값 설정 가능 프로그램
이런 브라우저 뿐만이 아니라 압축 프로그램, 문서 프로그램 등등 다양한 프로그램에 모두 적용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압축을 반디집, 알집 등 원하는 프로그램을 통해서만 열 수 있습니다. 혹은 엑셀 파일의 경우에는 MS 오피스 엑셀을 통해서 열지 한셀을 통해서 열지 등등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기본값 설정 시에 파일 유형이나 링크 유형에 대한 각각의 설정을 할 수도 있습니다. 파일명 뒤에 오는 확장자에 따라서 여는 프로그램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른 기본값 설정 경로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프로그램에는 기본값 설정 메뉴가 제공이 됩니다. 크롬의 경우에는 설정을 통해서 기본 브라우저로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만일 해당 프로그램에서 기본값 설정 항목을 찾기가 어렵다고 한다면 프로그램 앱 설치 시에 선택한 확장자를 기본적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오픈하도록 설정하는 항목도 나옵니다.
그러니 원하는 기본값 설정이 잘 안된다고 한다면 프로그램을 지웠다 다시 설치해 초기 값 설정에서 기본 브라우저 설정 등과 같은 설정을 해두시길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