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 전원 완전히 끄는 방법(시프트+다시 시작 영구 설정)

노트북 전원 완전 종료 방법 관련 설명입니다. 윈도우를 이용하는 노트북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우리가 전원 종료를 하는 시작-전원-시스템 종료를 하더라도 완전히 전원이 종료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고 있으셨나요?

윈도우에 기본적으로 되어있는 설정으로 시스템 종료를 하더라도 최대 절전으로 되어있다가 다시 켜지는 방식으로 작동되도록 설계가 되어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전원을 껐다고 생각하지만 최대 절전 모드로 바뀌기만 할 뿐 실제로는 완전히 전원이 꺼지지 않는거라고 이해해볼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이런 상태로 노트북이 계속 되는 경우에는 PC가 느려지고 문제가 발생할 수 밖에 없습니다. 기본적으로 전자 기기는 중간중간 전원을 꺼줘야 시스템이 안정화가 되는데요. 스마트폰 역시 마찬가지로 안 끄고 계속 켜두고 쓰다보면 어느 순간 엄청난 버벅거림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노트북 역시 완전 종료가 한 번씩은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완전히 전원을 종료하는 방법. 그리고 앞으로는 일반적으로 시스템 종료를 하면 실질적으로 전원이 완전 종료가 되도록 세팅하는 방법을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노트북 전원 종료(시프트+다시 시작)

가장 기본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는 전원 완전 종료 방법입니다. 시프트 키를 누르고 다시시작 버튼을 누르는 것 입니다.

키보드 시프트 키

윈도우의 Shift 키를 꾹 누른 상태로 진행합니다.

윈도우 시작-전원

윈도우 시작-전원 버튼-다시 시작을 누른 후 잠시 기다리면 곧바로 전원이 종료되지 않고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이 나오는데요.

윈도우 시프트 다시시작 화면

여기서 PC 끄기를 방향키로 선택 후 엔터를 하면 노트북이 완전히 종료 됩니다.

위 방법은 일시적인 방법으로 매번 이렇게 하기에는 다소 불편하고 까먹고 안하는 날이 훨씬 많겠죠. 그러니 이렇게 완전히 종료될 수 있도록 일반적인 시스템 종료 시에 적용이 되도록 세팅할 수 있습니다.

노트북 완전 종료 세팅하는 방법

노트북 완전 종료되도록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경로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1. 제어판
  2. 하드웨어 및 소리
  3. 전원옵션
  4. 전원 단추 동작 변경
  5. 빠른 시작 켜기 해제

단계별로 한 번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윈도우 제어판 프로그램으로 들어갑니다. 제어판은 시작을 켜서 제어판으로 검색하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제어판-하드웨어 및 소리

하드웨어 및 소리로 들어갑니다.

전원 옵션-전원단추 동작 변경

전원 옵션에서 전원 단추 동작 변경을 선택합니다.

윈도우 전원 단추 정의 및 암호 보호 설정

그리고 나오는 메뉴 중 종료 설정 카테고리에 빠른 시작 켜기에 체크 박스를 해제하면 되는데요. 심지어는 권장 사항으로 되어있습니다. 당장 해제하고 싶지만 체크 박스가 회색으로 되어있어서 해제할 수가 없는데요. 상단에 보이는 현재 사용할 수 없는 설정 변경 버튼을 클릭하면 체크 박스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빠른 시작 켜기 해제

이렇게 해제를 하고 난 후에 아래에 있는 변경 내용 저장 버튼을 꼭 클릭해 적용을 해줍니다.

변경 내용 저장

이 기능이 권장 사항으로 되어있는 부분으로는 HDD 하드 디스크 당시 사용하기 좋은 기능이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최근의 SSD를 이용하는 노트북에는 빠른 부팅 성능상에 큰 차이가 없을 만큼 변경이 필요한 사항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참고하시어 노트북 관리하는 데에 활용해보시길 바랍니다.

함께 볼만한 추천글